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운영진글

율리아님말씀

주님께서 예비하신 삶

기도봉헌란

영광의자비의예수님

 

사랑의메시지

나주성지바로알기

나주의진실

나주 동영상

은총증언

 

 

 

 

☆ 부활 제 4 주간 토요일 (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 기념일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성체사랑
댓글 13건 조회 3,880회 작성일 11-05-21 10:18

본문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8.jpg

축일:5월21일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
St. Constantine the Great
San Costantino Imperatore
St. Constantinus I

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274.2.27~337.5.22)
Costantino = che ha fermezza, tenace, dal latino
= that it has firmness, tenacious, from the Latin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21.jpg

콘스탄티누스 1세 [Constantinus I, 274.2.27~337.5.22]
콘스탄티누스 대제. 고대 로마 황제(재위 306∼337).

정식 명칭은 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콘스탄티누스 대제(大帝) 또는 콘스탄틴 1세라고도 불린다. 콘스탄티우스 1세와 헬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황제 퇴위 후 로마 제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로마 제국을 재통일시켰으며, 그리스도교 신앙을 공인한 황제로서도 유명하다.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를 따라 갈레리우스의 페르시아 원정에 참가하였다.
306년 아버지가 죽자 황제에 추대되었으나, 정통파 황제를 자칭하고 로마시를 근거지로 삼고 있던 막센티우스를 꺾어야 했고
312년에야 정식으로 황제 지위를 얻었다.
314년부터 로마 제국 동부를 차지한 황제 리키니우스와 대립하였으나,
323년 고트인(人)의 침입을 막아낸 후 리키니우스를 격파, 제국을 통일하여 단독 지배자가 되었다.

원래 그는 태양신을 숭배하였으나 그리스도교에 깊이 경도하여 그 자신도 그리스도교도가 되어
313년 밀라노에서 리키니우스와 함께 밀라노 칙령(勅令)을 공포, 신앙의 자유를 인정하였다.
당시까지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던 그리스도교 박해를 중지시키고 교회의 사법권 ·재산권 등을 우대하였다.
또한 북아프리카 도나투스파의 분파(分派) 문제도 조정하였으며,
325년 니케아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하는 등 교회 내의 분쟁 ·교리(敎理) 논쟁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였다.

한편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정한 통치 방식을 계승 발전시켜, 문무(文武) 관직의 기능을 완전히 분리하였고,
황제고문회의의 권한을 강화하여 중요한 정치에 관여시켰으며, 황제를 정상으로 하는 계급적 관료제도를 완비하였다.
또한 상비군 제도와 변경의 둔전병(屯田兵) 제도에 의거하여 군제를 정비하였으며,
사르마티아인(人)과 게르만인을 변경지방으로 이주시킴으로써 야만족의 침입에 대처하였다.

행정적으로는 관료와 군대의 유지, 오리엔트식의 궁정조직과 의례(儀禮)형식의 채용, 대규모 건축사업 등에 대한 지출이 증대하였기 때문에
각종 세금제도(금을 납부하는 형식으로)를 신설하였고, 솔리두스 금화본위(金貨本位)로 화폐제도를 정비하게 되었다.
한편 이교적 색채를 불식한 그리스도교적인 도시로서 비잔티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노플)라고 명명하였다(330).
그는 군인 ·통치자 ·입법자로서 제1급의 인물로 꼽히고,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더불어 로마 제국의 재건자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NAVER백과사전에서)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6.jpg

밀라노칙령 勅令
라틴어 Edictum Mediolanense

313년 2월 로마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치니우스(Licinius)가 밀라노에서 회담하고
6월에 발표한 칙령으로 로마제국의 전 영토 내에서 그리스도교의 자유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박해시대에 몰수되었던 교회의 재산이 모두 반환되었고, 그리스도 교인을 속박하던 모든 법률은 폐지되었다.

이 칙령은 리치니우스가 막시미누스 다자(Maximinus Daza)를 무찌른 후 오리엔트 총독에게 보내
<박해자의 죽음에 대하여>(De mortibus persecutorum, 348)란 서한 속에 실려 있었고,
이것이 다시 락탄시오(Lactantius)와 에우세비오(Eusebius)에 의해 인용되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 때문에 밀라노칙령은 양 황제의 의견차로 인하여 밀라노에서 공포되지 못하였고,
칙령이라기보다는 동방지역의 총독들에게 보낸 포고문의 형식이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가톨릭대사전에서)

밀라노 칙령 勅令
영어 Edict of Milan

그리스도교가 로마 제국 내에서 영구히 종교적 관용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한 포고령.
이는 313년 2월에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밀라노에서 협의한 정치조약의 결과였다.
동방교회는 313년 6월 리키니우스에 의해 선포된 이 포고령에서 모든 사람에게 신앙의 자유를 주고
그리스도교도에게 법적 권리(교회를 조직할 권리도 포함)를 보장해주며, 몰수한 재산을 그리스도교도에게 신속히 돌려주도록 지시했다.
이전에 내렸던 여러 칙령들은 그것을 선포했던 역대 정권들만큼 단명했으나, 이 밀라노 칙령은 종교 관용을 제도적으로 확립했다.
(한국브리태니커 온라인에서)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jpg

니케아 신경
영어 Nicene Creed

니체아 공의회(기원후 325)에서 선언되고 콘스탄티노플 공의회(기원후 381)에서 재확인된 신앙의 진리들의 요약.
그것은 (후대에 압축적으로 확정된) 사도신경보다도 가톨릭 교리(특히 삼위일체의 신비)를 더욱 충만히 표현하고 있다.
이 니케아 신경은 주일과 다른 축일들의 성찬례에서 강론 또는 설교 후에 함께 외우는 신앙고백에 사용된다(교리서 195).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9.jpg

로마 제국이 비로소 가톨릭에 자유를 준 것은 저 유명한 콘스탄티노 대제인데,
그때까지 300년 동안 계속된 박해에서 흔연히 신앙을 위해 생명을 바친 무수한 신자들의 용감성과
또 그들의 평상시의 훌륭한 행동은 아울러 뜻있는 이들의 마음을 감동시키고도 남음이 있었던 것이다.

콘스탄티노 대제의 아버지 콘스탄디오나 어머니 헬레나도 그러한 감화를 받아 은연중 가톨릭에 대한 경외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헬레나는 세례를 받고 후세에 성녀로서의 존경을 받을만한 훌륭한 신앙의 소유자가 된 것이다.

헬레나가 태어난 해는 확실치 않으나 대개 250년 전후로 추측된다.
그녀의 아들인 콘스탄티노가 274년 2월 17일에 출생했기 때문이다.
그녀의 고향은 소아시아의 비치니아 주에 있는 드레파눔이라는 곳이었으며 그녀의 양친은
명문의 집안도 아니고 재산도 넉넉하지 못했으므로 헬레나도 손수 벌어서 먹고사는 법을 강구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녀는 본래 미모에다 아름다운 마음씨의 소유자였으므로
마침 그곳에 배속 근부 중인 로마의 장교 콘스탄티오 클로루스의 눈에 들게되어 낮은 신분에도 불구하고 그와 결혼하게 된 것이다.
그녀가 초산(初産)을 한 곳은 나이수스라고 하는 지금의 닛슈 시(세르비아 영내에 있다)이며 그 아기의 이름이 곧 콘스탄티노였다.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7.jpg

콘스탄티노는 작은 콘스탄티오라는 뜻이다.
그러는 동안 남편인 콘스탄티오는 차차 승진해 막시미아노 황제의 중신이 되고 부하들의 신망도 컸으므로,
곧 로마 제국 서부의 총독으로서 갈리아 지방, 즉 프랑스와 남독일, 스페인, 브리타니아 등 온 지방을 통치하게 되었다.
거기서는 조건이 있었다. 즉 먼저 그의 부인인 헬레나를 버리고 막시미아노의 딸인 테오도라와 결혼할 것과,
다음은 그 아들인 콘스탄티노를 볼모로서 소아시아의 니코메디아에 있는 리지니오의 저택에 남겨 둔다는 것이었다.
콘스탄티오는 그런 무리한 요구에 처음에는 응하려 하지 않았으나, 그의 복받치는 야심은 마침내 부인을 희생시키려고 결심했다.
때는 292년의 일이었다.

헬레나는 억울한 마음을 억제하며 비참히 그 자리를 물러났다.
그 아들 콘스탄티노는 인질로서 소아시아를 향해 떠나게 되어 서로 이별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콘스탄티오는 자기 야망대로 서 로마 지역의 총독이 되었으나, 역시 사람은 죽을 때엔 본심이 돌아오는 법이다.
그가 중병에 걸려 눕게 되자 그 아들이 보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 아들을 소환하려 했는데, 이것을 안 동 로마의 총독 리지니오는 콘스탄티노를 독살하려 했다.
겨우 난을 면해 아버지를 찾아간 콘스탄티노는 306년 아버지의 별세와 더불어 군부의 지시를 받아 그 후계 총독이 되었다.
그는 즉시 어머니 헬레나를 독일의 트리엘에 있는 자신의 별장에 모시고 가서 아버지가 약탈한 그녀의 지위와 권리를 복구시켜 주었다.

그리고 그가 저 유명한 미르비오교(橋)의 전쟁에서 대승리를 얻자 곧 서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추대를 받고 로마로 거처를 옮겼다.
그 후 그는 어머니 헬레나에게 왕대비 아우구스타라는 칭호를 보내고 아울러 조폐권(造幣權)을 주고
어머니 고향인 드레파눔을 개조,미화해 이를 헬레노폴리스 즉 헬레나의 시(市)라 개칭하여 영원히 그녀의 이름을 기념케 했다.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7.jpg

그러나 전에 세상의 쓴맛을 다 맛본 헬레나인지라, 연기와 같이 허무한 세상의 영화에 마음을 붙이지 않았다.
오히려 영원불멸의 행복을 말하는 가톨릭에 더욱 마음이 끌리어 마침내 60세에 이르렀을 때에 자진하여 세례를 받고 가톨릭 신자가 되었다.
초대 교회의 유명한 역사가인 에우세비오는 그녀를 평해 말하기를
“주 예수 그리스도께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와 같이 그녀의 신앙은 견고하고 열의는 뛰어났다”고 했다.

당시 헬레나의 몸은 왕대비라는 높은 지위에 있고 또한 조폐권까지 가지고 있어 그녀의 부유함은 비할 데가 없었으나,
그녀는 빈민에게 희사하거나 성당 건축을 위한 것이라면 한 푼도 아끼지 않고 모든 원조를 제공했으며,
자기의 존귀한 신분을 잊고 천한 사람들과 함께 예식에 참여도 하고, 기도하기를 좋아했다.

콘스탄티노 황제는 그 후 자기의 기념 도시인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플(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의 도시라는 뜻이다)을 그 수도로 정했다.

헬레나는 예수께서 일생을 지내신 팔레스티나 지방과 조금이라도 가까운 곳에 살게 됨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또한 그녀의 유일한 소망인 성지 순례를 마침내 326년에 이루었다.
그때 교회의 원수들은 옛날의 성스러운 유물을 없애기 위해 갈바리아 산상에 세워졌던
주님의 십자가를 어딘가로 치워 버리고 그 대신 그 곳에다 베누스 여신의 동상을 세워 놓았었다

헬레나는 여러 곳을 발굴해 고생 끝에 겨우 주님의 십자가를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이 때문에 그녀의 문장은 십자가이다.

헬레나는 또 다시 주님의 탄생지인 베들레헴과 주님의 승천지인 올리브 동산에 기념 성당을 건축하고 많은 유물을 모시고
콘스탄티노플에 귀환했으나 얼마 후에 주님의 부르심을 받아 세상을 떠났다. 그때 그녀의 나이는 80세였다.
그녀의 상본은 보통 머리에 아름다운 관을 쓰고 화려한 복장에 망토를 두르고 위엄을 갖춘 왕대비의 복장으로 십자가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그린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성녀 헬레나 황후 축일:8월18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9월14일.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6.jpg

콘스탄틴 황제가 기독교를 인정하게된 내역

콘스탄틴 (Constantine)황제는 처음부터 기독교를 인정하고 종교의 자유를
로마제국 국민들에게 부여할 마음이 없었다
다만 정도가 덜 했을뿐이지 기독교를 탄압하는 정책은 마찬가지였다

당시 콘스탄틴 황제는 로마 북부의 티베르 강을 가로지르는 밀비안(Milvian) 다리를 사이에두고 적군인 막센티우스(Maxentius)와 치열한 전쟁중이었다

하지만 콘스탄틴의 군대는 상대편의 군사력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전쟁에 패할 위기에 처해진 콘스탄틴은 걱정과 안타까움으로 밤잠을 이루지 못하든중에 환상을 보게되는데
그리스도의 이름으로부터 따온 머릿글자를 보게되며 이 상징을 새기고 전쟁에 임하면 이기라는 계시를 받는다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5.jpg

콘스탄틴은 이를 신의 계시(신의 당부:神託)로 생각하고 병사들의 방패와 투구에
환상으로 본 그 상징의 기호를 그려넣고 전쟁에 임하여 불리하던 상황을 역전시켜 승리로 장식하게 된다
이 전쟁의 승리로 서방을 손에 넣게된 콘스탄틴은
이 전쟁의 승리가 자기에게 환상을 보여준 신이 가져다 준것이라고 믿게되었으며
자신이 스스로 기독교인이 되기에 이르며 313년 밀라노에 돌아와 밀라노칙령Edict of Milan을 선포하였다

이 칙령은 모든 종교를 자유롭게 선택할수 있으며 예배를 할수 있다는 선언인 것이었다
동시에 로마제국에 몰수 되었던 교회의 재산을 환원 받게 되었고 기독교를 로마제국이 인정한 다른종교와 동일시 하게 된것이다
그는 324년에 동방의 리시니우스(Licinius)를 멸하고 드디어 동서를 가로 지르는 대 황제가 되었다

이와같이 그가 기독교를 인정하고 기독교인이 되기 까지는 전쟁의 승리가 신이라는 믿음이 강하게 자리잡았기 때문이었으며
비록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정하지는 않았지만 기독교의 대표자들을 감독으로 임명하여
지금의 국회의원과 같은 지위를 인정했으며 많은 교회를 짓기도 하였다

콘스탄틴 황제가 지은 교회들:성 요한 라테란 성당(The Church of St John Lateran, Basilica San Giovanni in Laterano),
베드로 성당(The Church of St Peter, San Pietro Basilica),바오로 성당(The Church of St Paul, Basilica of St. Paul Outside the Walls )
(NAVER백과사전에서)

*라테란 대성전 봉헌 축일:11월9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2월22일.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3.jpg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콘스탄티노플의 원래 지명은 비잔티움이다.
B.C. 7세기경 그리스의 지도자 비자스가 "눈 먼땅에 새 도시를 건설하라"는델피 신전의 신탁을 받아
도시 국가를 건설한 것이 유래가 되어 비잔티움으로 불리웠다.
비잔티움의 시대는 이 도시의 그리스 문화를 대표하는 지명이기도 하다.

A.D. 4세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로마 제국의 수도를 이곳으로 옮기면서 콘스탄티노플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A.D. 330년 5월 11일 히포드럼(마차 경기장)에서 도시의 완공식을 갖고 콘스탄티노플로 다시 태어난 이 도시의 이름은
비잔틴제국의 기독교 문화를 대표한다.

기독교 국가로서 1230년동안 비잔틴 제국의 수도로 있던 콘스탄티노플은
1453년 5월 29일 오스만 터키 마호멧 술탄에 의해 망하게 되고 이 도시는 3일간의 약탈이 행해진 후
이스탄불이라는 이슬람식 명칭으로 불리워지게 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스탄불은 이슬람 문화를 나타내는 지명이다.

아름다운 고도이자, 아시아와 유럽이 만나는 곳. 그 옛날 실크로드의 여정이 마무리 되던 곳.
역사학자 토인비는 이 도시를 일컬어 ’살아있는 박물관’이라 하였다.
(NAVER백과사전에서)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5.jpg 0521San%20Costantino%20Imperatore%2012.jpg

 

 

말씀의 초대
  •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가는 곳마다 회당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포한다. 그러나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에 살던 사람들이 복음을 거부하자, 바오로는 “내가 너를 다른 민족들의 빛으로 세웠다.”라고 하셨던 주님의 말씀에 따라 이방인을 위한 사도의 길을 걷는다(제1독서). 필립보가 예수님께 아버지를 뵙게 해 달라고 청한다. 예수님께서는 필립보에게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라고 말씀하신다. 필립보는 예수님 안에 온전히 하느님께서 함께 계심을 아직 깨닫지 못하고 있다(복음).
제1독서
  •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 사도행전의 말씀입니다. 13,44-52 그 다음 안식일에는 주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도시 사람들이 거의 다 모여들었다. 그 군중을 보고 유다인들은 시기심으로 가득 차 모독하는 말을 하며 바오로의 말을 반박하였다. 그러나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담대히 말하였다.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먼저 여러분에게 전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것을 배척하고 영원한 생명을 받기에 스스로 합당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니,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사실 주님께서 우리에게 이렇게 명령하셨습니다. ‘땅끝까지 구원을 가져다주도록 내가 너를 다른 민족들의 빛으로 세웠다.’” 다른 민족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기뻐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하였다.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정해진 사람들은 모두 믿게 되었다. 그리하여 주님의 말씀이 그 지방에 두루 퍼졌다. 그러나 유다인들은 하느님을 섬기는 귀부인들과 그 도시의 유지들을 선동하여, 바오로와 바르나바를 박해하게 만들고 그 지방에서 그들을 내쫓았다. 그들은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나서 이코니온으로 갔다. 제자들은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있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 말씀 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제 마음안에 친히 오시어
       사랑의 불을 놓아 주시고
       사랑의 기적을행하시어
      주님의 말씀이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게 하소서.
                아멘
복음
  •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4,7-14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가 나를 알게 되었으니 내 아버지도 알게 될 것이다. 이제부터 너희는 그분을 아는 것이고, 또 그분을 이미 뵌 것이다.” 필립보가 예수님께,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 저희에게는 그것으로 충분하겠습니다.” 하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필립보야, 내가 이토록 오랫동안 너희와 함께 지냈는데도, 너는 나를 모른다는 말이냐?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 하느냐?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는 것을 너는 믿지 않느냐? 내가 너희에게 하는 말은 나 스스로 하는 말이 아니다. 내 안에 머무르시는 아버지께서 당신의 일을 하시는 것이다.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고 한 말을 믿어라. 믿지 못하겠거든 이 일들을 보아서라도 믿어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를 믿는 사람은 내가 하는 일을 할 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큰 일도 하게 될 것이다. 내가 아버지께 가기 때문이다. 너희가 내 이름으로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내가 다 이루어 주겠다. 그리하여 아버지께서 아들을 통하여 영광스럽게 되시도록 하겠다. 너희가 내 이름으로 청하면 내가 다 이루어 주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말씀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부족한 제 영혼을 다스리시어
        매순간 말씀 안에서 살아 숨쉬며
        복음을 실천하게 하소서.
                 아멘
오늘의 묵상
  • 이스라엘 백성이 늘 바치는 ‘기도’이자 ‘성가’라고 할 수 있는 시편에는 곳곳에 하느님 얼굴을 그리워하는 내용이 들어 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당신의 얼굴을 드러내신 적이 없습니다. 창세기에 아담과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하느님과 함께 걷고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신화적 표현은 있지만 그분의 얼굴은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그분께서는 오로지 목소리나 천둥과 구름 같은 표징으로 당신의 현존을 드러내셨을 뿐입니다. 그런데 하느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당신의 얼굴을 드러내셨습니다.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초월적인 하느님께서 우리의 시간과 공간으로 들어오셔서 예수님을 통하여 당신의 얼굴을 보여 주신 것입니다. 그리고 제자들과 먹기도 하시고 마시기도 하시며 함께 지내셨습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에서 뜬금없이 필립보가 예수님께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필립보는 예수님에게서 유다의 남자, 비범한 나자렛 사람의 얼굴은 보았지만, 그분 삶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온전한 ‘사랑의 얼굴’은 아직 깨닫지 못한 것입니다. 하느님의 얼굴을 그리워한다는 것은 나자렛 사람으로 그려진 초상이 아니라 그 ‘사랑’을 그리워하는 것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우리 안에 심어 있는 ‘하느님의 모상’, 그 참된 ‘사랑의 나’를 그리워하는 것입니다. ‘사랑 받는 나’를 그리워하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얼굴을 드러내는 ‘사랑하는 나’를 그리워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사랑하는 존재가 되지 않으면 주님께서 함께 계셔도 주님의 얼굴을 깨달을 수가 없습니다. 결국 주님에 대한 그리움의 목적지는 우리 자신 안에 있습니다. 오로지 사랑을 해야만 그분 얼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출처 매일 미사- 

★ 오늘도 생활의 기도를 통하여 ~~~

     기쁨과 사랑과 평화를 누리는 좋은 하루 되세요 ^^*

댓글목록

profile_image

아기님의 댓글

아기 작성일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 시여 !

나주의 빠른 인준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

율리아 님의 영육간의 건강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 아멘 !!!

성체사랑 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

profile_image

님의작은꽃님의 댓글

님의작은꽃 작성일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나주성모님의 하루빠른 인준을 위하여 율리아엄마의 영육간의 건강과안전을 위하여
전능하신 하느님 아버지께 간절히 전구하여주시옵길 기도드리며
광주교구에 사제님들을 위해서도 교구장님을 위해서도 성부께 빌어주시길 기도드리옵니다
아멘~~~!!!*

profile_image

천국이좋아님의 댓글

천국이좋아 작성일

거룩하신 하느님의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시여!

나주성모님 인준과 율리아님을 위하여 빌어주소서.아멘.
한국교회를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엄마와함께님의 댓글

엄마와함께 작성일

너희가 내 이름으로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내가 다 이루어 주겠다.아멘!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성모성심의 승리와 나주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죄인들의 회개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율리아님의 영육 간에 건강하심과 안전 그리고
기도지향마다 꼭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어머니향기님의 댓글

어머니향기 작성일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나주 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성모님의 승리오 세분신부님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에 건강과
안전을 기도지향이 꼭 이루어 지기를 성체사랑님의 정성과
사랑 저희의 작은 정성도 합하여 바쳐드립니다 아멘!!!

사랑해요 성체사랑님...

profile_image

엄마꺼님의 댓글

엄마꺼 작성일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나주 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자아포기님의 댓글

자아포기 작성일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시여!! 나주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시여!! 율리아자매님의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함께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죤폴님의 댓글

죤폴 작성일

찬미 예수님,상경 성모님.

..그리스도교에 깊이 경도하여 그 자신도 그리스도교도가 되어
313년 밀라노에서 리키니우스와 함께 밀라노 칙령(勅令)을 공포, 신앙의 자유를 인정하였다.
당시까지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던 그리스도교 박해를 중지시키고 교회의 사법권 ·재산권 등을 우대하였다.
예수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던 로마가 비로소 중지한 그 날은 하느님 승리입니다.
이런 과정을 거쳤던 교회는 이제 나주 성모님 박해를 중지하고 새로운 날을 만들어야합니다.

profile_image

피난처님의 댓글

피난처 작성일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
나주성모님의 더빠른인준과
율리아엄마의 건강과안전,그리고
베네딕도16세교황님의 모든 기도지향을 위하여서도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생활의기도화님의 댓글

생활의기도화 작성일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나주성모님의 더빠른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아멘
 
율리아엄마의 건강과안전,기도지향이 꼭 이루어지시길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Liliana님의 댓글

Liliana 작성일

성 콘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한국 나주 성모님의 빠른 인준을 위하여 하느님 아버지께
간절히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어머니망토님의 댓글

어머니망토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christina님의 댓글

christina 작성일

성 코스탄티누스 대제이시여~
나주 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율리아엄마의 건강과안전,기도지향이
꼭 이루어지시길 빌어주소서 아멘~!!!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마리아의구원방주

주소 : 전남 나주시 나주천 2길 12 (우.58258)
전화 : 061-334-5003 팩스 : 061-332-3372

접속자집계

오늘
2,068
어제
7,576
최대
8,248
전체
4,360,338
Copyright © http://www.najumary.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