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운영진글

율리아님말씀

주님께서 예비하신 삶

기도봉헌란

영광의자비의예수님

 

사랑의메시지

나주성지바로알기

나주의진실

나주 동영상

은총증언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성체사랑
댓글 25건 조회 5,503회 작성일 13-10-07 09:49

본문

1007Beata%20Vergine%20Maria%20del%20Rosario%202.jpg

축일: 10월 7일

묵주 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로사리아축일

Beata Vergine Maria del Rosario

Our Lady of the Most Holy Rosary

Our Lady of the Rosary

이 축일은 성 비오 5세 교황이 레판토 해전(1571년) 승리 기념일에 제정하였다.

그리스도교 신자 군사들은 그 때 자신들이 거둔 승리가 묵주기도를 바침으로써 받은, 천주의 거룩하신 어머니의 도움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오늘 이 축제는 하느님 아드님의 사람이 되심, 수난, 그리고 부활의 영광에 특별한 방법으로 참여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이끄심으로

그리스도의 모든 신비를 묵상하도록 우리를 격려한다. (매일미사 10월호에서)

역사상으로 레판토 해전은 너무나 유명한 것이다.

즉 1571년에, 이미 연전 연승을 거듭해 온 터키군은 마침내는 로마를 점령하고

가톨릭을 지상에서 말살시키려고 위풍 당당하게 대 함대를 몰고 이탈리아로 향했다.

교황 비오 5세는 제후들에게 원조를 청했으나, 당시의 정정(政情)으로서는 겨우 하나의 소 함대를 편성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적의 절반도 못되는 병력으로 적을 쳐부수기 위해 교황은 온 가톨릭 신자에게 묵주기도를 할 것을 명했다.

한편 교황도 로마에서 성직자 신자들과 뜻을 합하여 열심히 이를 실천했고, 함대에 있는 장병들도 그렇게 했던 것이다.

1571년 10월 7일 최초의 해전에서 크리스찬 군은 적의 함대에 포위되어 수 척의 군함은 이미 격침되었고,

다시는 싸울 희망조차 없이 절망상태에 빠지게 되었는데 그 후의 전황이 기적적으로 우세하게 되어 마침내 적의 함대를 전부 격퇴시키고 말았다.

즉 묵주 기도가 이와 같은 대승리를 가져오게 했고 온 유럽의 신앙을 구해준 것이다.

이 승보(勝報)에 접한 전 로마 시민은 기뻐했고, 방방곡곡에서 성모깨 대한 감사의 예식이 거행되었다.

그때부터 성모 호칭 기도에 "지극히 거룩한 로사리오의 모후여, 우리를 위하여 빌으소서’ 라는 기도문이 삽입되었고 10월 7일을 그 축일로 정하게 되었다.

이 신심의 전파는 1830년 이후 성모님이 발현하여 묵주 기도를 열심히 바칠 것을 권고하면서 더욱 널리 퍼졌습니다.

교회는 성모 마리아가 루르드(l858)·파티마(l9l7)·보랭(l932~l933)의 발현에서 묵주 기도를 특별히 권장하였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묵주기도 성월은 개인과 가정성화, 인류구원과 세계평화를 위하여 묵주기도를 바치는 달로,

1883년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Supremi Apostslatus』에 의해 10월을 묵주기도 성월로 설정되었습니다.

*로사리오(Rosario:라틴어)란 말은 장미 꽃다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007Beata%20Vergine%20Maria%20del%20Rosario.jpg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강론에서

(Sermo de Aquaeductu: Opera omnia., Edit., Cisterc., 5[1968],282-283)

우리는 구원의 신비를 묵상해야 합니다.

“당신에게서 태어나실 거룩한 아기는 하느님의 아들,” 지혜의 원천, “하늘 가장 높은 데에 계신 아버지의 말씀이라 부르게 될 것입니다.”

거룩한 동정녀시여, 말씀께서는 당신을 통해서 사람이 되시어,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나 또한 아버지 안에 있다.”고 말씀하신 그분은

“나는 아버지께로부터 나와서 세상에 왔다.”고 하셨습니다.

요한의 말에 의하면 “태초에 말씀이 계셨습니다.” 즉 이미 샘물이 흐르고 있었지만 아직 자신 안에서만 흐르고 있었습니다. 이어서 말합니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다.” 즉 가까이 갈 수 없는 빛 가운데 계셨습니다. 그리고 주님은 태초로부터 계획을 세우셨습니다.

“내 생각은 평화의 생각이지 고난을 줄 생각이 아니다.”

그러나 주님의 계획은 주님의 심중에 숨겨져 있었으므로 우리는 그것을 알 수 없었습니다.

“주님의 생각을 잘 안 사람이 어디 있었으며 주님의 의논 상대가 될 만한 사람이 또 어디 있었습니까?”

그래서 평화의 계획은 평화의 작업에로 내려왔습니다. “말씀은 사람이 되시어 지금 우리 가운데 거처하십니다.”

그분은 특히 신앙을 통해서 우리 마음속에 거처하시고 우리의 기억속에 거처하시고 우리 생각 속에 거처하시며 우리의 상상력에까지 내려오십니다.

그분이 이미 우리들 가운데 오지 않으셨다면 사람은 환상이 만들어낸 하나의 우상밖에는 하느님에 대해 무슨 관념을 가질 수 있었겠습니다?

하느님은 파악할 수 없고 다다를 수 없고 보이지 않으시며 결코 인식할 수 없는 분이셨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분은 사람들이 당신을 이해하기를 원하시고 당신을 보기를 원하시며 당신에 대한 관념을 갖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어디에서 그리고 언제 당신 자신을 보여 주셨습니까?“

말구유에 누워 계실때, 동정녀의 품에 안겨 게실 때, 산에서 설교하실때, 기도 중에 밤을 지새우실 때,

또는 십자가에 매달리시어 죽음이 다가오자 얼굴이 창백해지셨을 때,죽은 이들 가운데서 해방되시어 명부에서 다스리실때,

또는 사흘 만에 부활하시어 승리의 표지인 못 자국을 사도들에게 보여 주실 때,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들이 보는 데서 하늘의 은밀한 곳에로 승천하실 때입니다.

누가 이 모든 신비들을 참되게 경건하게 또 거룩하게 묵상하지 않겠습니까? 나는 이 신비들을 생각할 때 하느님을 생각합니다.

이 모든 신비들 안에서 나는 하느님을 발견합니다. 나는 이런 신비들에 대해 묵상하는 것을 지혜라고 일컫습니다.

아론의 지팡이가 이들 새싹들에다 그렇게도 풍성히 발생시키고

마리아께서 위에서 가져다가 우리에게 풍부히 부어 주신 그 향기를 되맡아 보는 일을 나는 슬기라고 생각합니다.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축일:8월20일

1007Madonna%20in%20the%20Rosary.STEFANO%20DA%20ZEVIO.jpg

Madonna in the Rosary.STEFANO DA ZEVIO

c. 1410.Tempera on wood, 129 x 95 cm.Museo di Castelvecchio, Verona

■ 발 현

교회 안에서는 마리아가 발현하셨다고 믿고 순례하는 성지들이 수없이 많이 있고 또 오늘날에도 세계 도처에서 마리아의 발현이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많이 있다.

루르드와 파티마가 그 대표적인 순례 성지인데, 과연 발현은 어떤 현상일까?

L. 부이엘은 "발현이란 감각을 초월하여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 하느님의 현현(顯現, MANIFESTATION) 또는 천사나 죽은 성인들의 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이 정의에 따르면, 발현을 인식하는 형태는 감각 기관에 의한 것이나, 발현이 그 자체로 감지될 수 없는 대상도 있고(하느님, 천사),

우리들의 현재 인식 능력으로 감지할 수 없는 것도 있다(예컨대, 영광스럽게 되신 그리스도의 몸과 마리아)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발현은 순전히 주관적인 경험이 결코 아니다.

발현은 출현하여 그 자체를 알게 하는 어떤 존재와 실제로 접촉하게 하는, 어떤 초월적인 힘의 개입에서부터 일어난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렇다면, 이같은 "인식"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이것이 문제시된다.

이 때문에 교회는 발현에 대하여 항상 신중한 자세로 임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올바른 발현이면 반드시 하느님으로부터 나오는 신비적인 어떤 특성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마리아의 발현은 성모님이 교회의 생활에 적극 참여하고 계심을 증명한다.

마리아의 발현은 당신의 "모성적 사랑"을 특별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며, 이로써 "당신 아들의 형제들이 지상 여정에서 위험과 고통 중에 있는 것을 돌보시어

행복한 고향으로 인도해 주신다"(교회 62). 그리고 발현의 목적은 새로운 계시를 주시기 보다는 복음서의 가르침을 상기시키고, 어떤 교리를 특히 강조하는데 있다.

마리아는 당신 자신의 말을 하시지 않고, 마치 가나 혼인 잔치에서 아들 예수의 명을 따르라고 지시한 것처럼, 아드님의 메시지를 반복하신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어느 "발현의 메시지가 계시 진리나 교회의 가르침과 위배된다면, 이것은 올바른 발현이 아니라는 표시가 되며, 의식적이거나 혹은 무의식적인 거짓말인 것이다.

따라서 마리아의발현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결정짓는 것은 전적으로 교회의 권위에 속하는데, 대개는 최초의 발현이 있는 교구의 주교들일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발현 장소에 대한 공적인 공경과 메시지의 선포는 교회 권위 결정 후에만 가능하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한 교회의 권위의 결정은 절대 확실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교회는 어떤 발현이든 간에 믿음의 내적 동의를 명하지 않는다.

즉, 발현은 신앙 조항이 아니다. 그러나 만일 교회 권위가 ’아니다’고 말하면서 금지하면, 신자들은 순종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마리아께서는 당신 아들의 교회를 반대하면서까지 활동하시지 않기 때문이다.

또 발현의 기적적인 어떤 면, 말하자면 발현한 곳의 샘에서 나온 물이 치유의 효과가 있다는 등등은,

그 자체를 중요하다고 인정할 수 있으나, 거기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그 대신, 우리들은 하느님의 자녀들인 우리 인류를 위해 그리고 교회와 세상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성모님이 요구하시고 명하시는

복음적 메시지(회개, 기도, 보속 등등)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실천해야 한다. 이것이 당신 아들의 형제들인 우리가 어머니 마리아의 소망을 이해하는 길인 것이다.

1007Beata%20Vergine%20Maria%20del%20Rosario%206.jpg

■사적 계시와 성모 발현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성모 발현은

성모 마리아가 정상적이고 자연적인 방법을 초월한 특이한 방법으로

어떤 특정인에게 나타난 현상으로 교회에서는 여러 곳의 성모 발현과 그 발현 때 이루어진 사적(私的 )계시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사적(私的) 계시는 공적(公的) 계시의 진설성을 확인하고 재조명할 뿐만 아니라

변천하는 시대의 특수 상황에서 신앙이나 윤리에 관한 가르침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보조적인 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적 계시가 진실한 것이 되려면 언제나 성서와 전승 및 교회의 가르침에 일치하고, 또 그것을 통해 교회에 유익을 주고 하느님의 영광을 증진시켜야 합니다.

사적 계시 및 이에 결부된 신비 현상에 지나친 관심을 가질 때 흔히 오류나 기만에 빠져 신앙 생활에 큰 해독을 끼칠 수가 있습니다.

성모님의 발현 때 전해지는 메시지가 바로 사적 계시에 해당합니다.

이 사적 계시의 진실성을 증거하기 위해 흔히 기적이나 신비 현상 등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 메시지들이 복음 자체는 아닙니다.

교회 역시 그 메시지들이 복음을 대치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모 발현의 어떠한 메시지라도 그것이 공식적인 교도권의 교의에 부합되어야만 진정한 사적 계시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과달루페] [파리] [라살레트] [루르드] [파티마] [바뇌]

과탈루페성모님.1531.12.9.멕시코.원주민.후안%20디에고.bmp

■과달루페의 성모.멕시코

1531년 l2월 9일 성모 마리아께서 예비자 교리를 배우고 있던 멕시코 원주민 후안 디에고(Juan Diego)에게 나타난 후 모두 4차례에 걸쳐 메시지를 주었습니다.

이때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후 스페인이 멕시코를 정복한 지 10년째 되는 해로서 원주민들은 정복자의 폭정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발현 장소는 원주민들이 신전을 세웠던 테페약(TEPEYAC) 언덕이었고,

성모님은 인디언의 피부를 하고 장밋빛 옷에 푸른 망토를 두르고 두 손을 모은 채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으로 발현하였습니다.

성모님은 “나는 평생 동정이며, 하느님의 어머니임이 알려지기를 원하고,

어려울 때에 정성을 다해 나를 찾는 이들에게 나의 자비를 드러내도록 이 자리에 성당을 짓기를 바란다”고 하셨습니다.

■파리

1830년 11월 27일 파리에 있는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사랑의 딸회’ 지원자였던 가타리나라브레(Catherine Laboure)에게 성모님이 발현하셨습니다.

당시 프랑스는 노동자들이 착취당하고, 가치관의 혼란으로 교회의 신앙이 흔들리고 혁명으로 왕정이 무너지는 등 사회의 변혁기였습니다.

성모님은 지구 위에 서서 두 팔을 활짝 펼친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그 주위에는 “원죄 없이 잉태되신 마리아여. 당신께 의탁하는 우리를 위하여 빌으소서”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성모님은 이 모습대로 메달을 만들어 지니는 사람은 큰 은총을 받을 것이라고 하셨고, 그 후 메달 착용이 늘어나면서 수많은 기적이 일어나

기적의 메달(Medaille miraculeuse)’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발현으로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에 대한 신심이 고조되었으며,

마침내 교황 비오 9세는 1854년 12월 8일에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를 믿을 교리로 선포하였습니다.

*침묵의 성녀 가타리나 라브레축일:11월28일

*원죄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마리아 축일:12월8일

라살레트성모님.1846.9.19.프랑스.멜라니마티유칼바.bmp

■라 살레트의 성모.LA SALETTE.프랑스

1846년 9월 19일 프랑스 가르가스산 기슭에 있는 라 살레트(La Salette)에서

11세의 막시망 지로(Maximin Giraud)와 15세의 멜라니 마티유 칼바(Melanie Mathieu Calvat)에게

발현하신 성모님은 순백색의 부인복에 황금색 앞치마를 두르고 장미 술이 달린 망토를 어깨에 걸치고 장미관을 쓰고 계셨습니다.

당시는 과학 만능주의·자유주의·무신론 등으로 교회의 전통 신앙과 성서의 가르침이 위기를 맞고 있었습니다.

성모님은 눈물을 흘리며 자신을 ’죄인들의 화해자’라고 밝히면서

인류가 회개하여 하느님과 화해하면 축복을 받지만 그렇지 않으면 큰 벌을 받으리라고 하셨습니다.

사람들은 이 메시지를 무시하였으나. 1846년 이래 대흉년으로 유럽에서만 100만 명 이상이 굶어 죽고 1870년에는 보불(普佛)전쟁까지 발발하자

회개하는 순례객들이 몰려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성모님.루르드.jpg

■루르드.프랑스

1858년 2월 11일부터 7월 16일까지 18회에 걸쳐 루르드의 동굴에서 14세의 소녀 베르나데트(Bernadette 1844~1879)에게 발현하셨습니다.

이때는 교황 비오 9세가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교리를 반포한 지 4년째 되는 해였는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자유주의 사상의 팽배로 지식층이 교회의 가르침을 불신하고 속속 교회를 떠나는 경향이 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모 마리아는 흰옷에 푸른색 허리띠를 두르고 오른팔에 묵주를 늘어뜨리고 양손을 가슴에 모은 모습으로 발현하셨습니다.

성모님은 자신을 ’원죄 없는 잉태된 자’(Immaculata Conceptio)라고 밝히면서 기도와 보속, 회개를 촉구하셨으며 특히 묵주 기도를 권하셨습니다.

그 후 매년 수백만 명의 순례자가 루르드를 방문하였고 기적도 자주 일어났습니다.

*성녀 베르나데트 축일:4월16일

*루르드 홈페이지 http://www.lourdes-france.com/bonjour.htm

*루르드 순례자료 http://bh.kyungpook.ac.kr/~psdon/catholic/lourdes.htm

파티마의%20성모님%201.bmp

■파티마.포르투칼

제 1차 세계대전이 절정에 달했던 1917년 5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6차례에 걸쳐 포르투칼 레이리아 교구의 작은 마을 파티마(fatima)에서

순박한 목동인 10세의 루치아(Lucia)와 루치아의 사촌 동생들인 7세의 히야친타(Jacinta)와 9세의 프란치스코(Frnacisco)에게 발현하였습니다.

발현 때마다 성모 마리아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흰옷에 흰 망토를 걸치고 묵주를 든 양손을 가슴에 모으고 맨발로 구름을 밟고 선 모습이었습니다.

성모님은 자신을 ’로사리오의 여왕’이라고 칭하고 세계 평화를 위해 매일 묵주기도를 바칠 것을 요청하셨습니다.

특히 러시아를 당신 성심에게 봉헌하고 매월 첫 토요일에 영성체 할 것을 요청하면서, 끊임없는 기도와 희생과 보속을 통해서만 세계 평화와 러시아의 회개 및

교회의 안정과 평온이 이루어지리라고 예언하셨습니다. 1917년 10월에 소련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일어났고, 이듬해에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났으며,

1942년 10월에 교황 비오 12세는 전세계, 특히 러시아를 마리아의 티없으신 성심에게 봉헌하였습니다.

*파티마의 복되신 동정마리아 축일:5월13일

*파티마의 복녀 히야친따 축일:2월20일

*파티마의 복자 프란치스코 축일:4월4일.

*외국 홈페이지 http://www.fatima.org

바뇌의성모님.1933.1.15.벨기에.마리에트.가난한자의동정녀.bmp

■바뇌.벨지움

1933년 1월 15일 독일 국경에서 가까운 벨기에의 바뇌(Banneux)에서 비신자인 12세의 소녀 마리에트(Mariette Beco)에게 성모님이 발현하셨습니다.

당시는 독일의 히틀러가 정권을 잡고 있던 때였는데, 성모님은 루르드 발현 때처럼 흰옷에 푸른 허리띠를 두르고 고개를 약간 왼쪽으로 숙인 채 합장하고

오른팔에는 묵주를 늘어뜨린 모습으로 나타나셨습니다. 성모님은 자신을 ’가난한 자의 동정녀’라고 칭하고,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위로하러 왔다고 하면서

기도를 많이 바치라고 하셨습니다. 그 후 수많은 성당이 바뇌의 성모님께 봉헌되었습니다.

★이상의 성모님의 발현들은 모두 교회의 정식인가를 받았습니다.

이외에도 1928~1975년 사이에 발생하였던 성모님의 발현들 중에서 교회의 공식 인가나 동의를 받지 못한 발현은 230 여 건에 달합니다.

*교회가 공식적으로 승인한 발현 참조 http://www.apparitions.org/

*바오로수도회에서 http://www.paolo.net/

*바오로딸수도회에서 http://www.pauline.or.kr

1007S.Maria%20Regina%20del%20S.%20Rosario.jpg

로사리오가 시작되게 하고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구조를 이루는데에 누구보다 많은 기여를 한 것은 도미니코회의 알라노 데 루페 (1428-1478)였다.

그는 여러 단계의 작업을 했다.

우선 기도들을 개선하여 그가 "묵주 기도의 영혼"이라고 불렀던 묵상적인 요소들을 "묵주 기도의 육체"를 이루었던 소리내어 하는 기도보다 중시했다.

그는 구원 역사에서의 사건들을 50개씩 세 무리로, 즉 환희의 신비, 고통의 신비, 영광의 신비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섯 단으로 나누었다.

이것은 오늘날의 15단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시편"이 성 도미니코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했는데, 이것은 역사적으로 확증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는 동료들로 하여금, 묵주 기도를 자신들의 사도직으로 삼게 했다. 실제로 도미니칸들은,

그때부터 언제나 이 기도를 전파했고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알라노는 무엇보다도 사도였고, 특히 네덜란드와 독일 북부에서 대중적 선교에 뛰어난 설교자였다.

이러한 선교를 하는 동안 그는 지칠 줄 모르고 로사리오회를 조직하고,

이 기도가 신앙에서 성장하는 수단이 되교 교회의 적들에 맞서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고 하였다.

이 마지막 확신은 지극히 중요한 것이어서,

묵주 기도에 관한 첫 교황 교서에 언급되어 우리에게까지 전해진다(Ea quae, 식스토 4세, 1479년 5월 12일자).

거기에서 묵주 기도는 "경건한고 열심한 기도의 방법으로서,

천사의 인사를 매일 - 하느님과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기리며, 그리고 세상을 위협하는 위험들에 맞서

-다윗의 시편에 있는 시편 수만큼 드리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나온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이 기도가 거의 가톨릭 신앙의 상징이 됨으로써 로사리오회가 자주 개신교에 효과있게 맞서게 되었다는 것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마침내, 이 확신은 레판토 해전의 승리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분명히 입증되었다 (1571년 10월 7일).

이 때에 도미니칸이었던 성 비오 5세 교황은, 거기에서 싸우고 있던 군인들의 대포와 용기보다도 묵주 기도라는 "무기"에 그 승리를 돌렸다.

그는 이 승리의 날인 10월 7일을 온 교회에서 지낼 지극히 거룩한 로사리오의 축일로 제정하기까지 했다.

후에 Consueverunt Romani Pontifices라는 교서로 규정화된 최종적인 묵주기도의 구조는,

마찬가지로 도미니칸이었던 알베르토 디 카스텔로에 의한 것이다.

그는 각 성모송 사이에 묵상을 위한 간단한 도움을 주도록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이 신심 행위를 더욱 가다듬었다.

문예 부홍 시기 동안, 여러 수도회들에서 몇 가지 형태의 묵주 기도들의 사용되었다.

그 중에는 성모의 종 수도회에서 권고한 "성모 칠고의 묵주 기도"가 있다.

그러나, 결국 우세했던 것은 도미니코 수도회에서 장려했던 형태였고

이는 위에 인용했던 교황 비오 5세의 교서 Consueverunt Romani Pontifices를 비롯한많은 교황 문헌들에서 언급되었다.

그 교서에서 묵주의 기도는, "다윗의 시편 수를 따라 천사의 인사를 150번 반복하며 복되신 동정녀를 공경하는 것이며,

각 단마다 주의 기도 한 번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삶 전체를 나타내는 특별한 묵상들을 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묵주 기도의 열매에 대하여, 그 교서는 지극히 웅변적으로 말한다.

"자주 마음으로 이 기도를 하는 신자들은, 그 묵상으로 불이 붙어, 다른 사람으로 변화되었다.

이단의 어둠은 물러나고 가톨릭 신앙의 빛이 다시 활보하게 되었다."

*도미니코수도회홈에서 http://www.opkorea.org/

1007Our%20Lady%20of%20the%20Rosary2.jpg

  • 16세기 중엽 오스만 제국(현재의 터키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 제국)은 세력 확장을 위하여 유럽을 침공하였다. 1571년 10월 7일 그리스도교 연합군은 그리스의 레판토 항구 앞바다에서 벌인 ‘레판토 해전’에서 이슬람 제국을 크게 이겼다. 이 전투의 대승은 묵주 기도를 통한 성모님의 간구로 하느님께서 함께하신 덕분이라 여기고, 이를 기억하고자 비오 5세 교황은 ‘승리의 성모 축일’을 제정하였다. 훗날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 기념일’로 이름이 바뀌었다.
말씀의 초대
  • 요나 예언자는 적국의 수도인 니네베에서 예언자직을 수행하라는 주님의 명령을 받지만 니네베의 반대 방향에 있는 타르시스로 도망친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요나를 극적으로 붙잡으신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한 율법 교사에게 영원한 생명을 얻는 길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제시하신다. 이에 율법 교사가 사랑해야 할 이웃이 누구인지 묻자, 예수님께서는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통하여 말씀하신다. 곧 자기 스스로가 먼저 이웃이 되는 것이 이웃 사랑이라고 이르신다(복음).
제1독서
  • <요나는 주님을 피하여 달아나려고 길을 나섰다.> ▥ 요나 예언서의 시작입니다. 1,1─2,1.11 주님의 말씀이 아미타이의 아들 요나에게 내렸다. “일어나 저 큰 성읍 니네베로 가서, 그 성읍을 거슬러 외쳐라. 그들의 죄악이 나에게까지 치솟아 올랐다.” 그러나 요나는 주님을 피하여 타르시스로 달아나려고 길을 나서 야포로 내려갔다. 마침 타르시스로 가는 배를 만나 뱃삯을 치르고 배에 올랐다. 주님을 피하여 사람들과 함께 타르시스로 갈 셈이었다. 그러나 주님께서 바다 위로 큰 바람을 보내시니, 바다에 큰 폭풍이 일어 배가 거의 부서지게 되었다. 그러자 뱃사람들이 겁에 질려 저마다 자기 신에게 부르짖으면서, 배를 가볍게 하려고 안에 있는 짐들을 바다로 내던졌다. 그런데 배 밑창으로 내려간 요나는 드러누워 깊이 잠들어 있었다. 선장이 그에게 다가가 말하였다. “당신은 어찌 이렇게 깊이 잠들 수가 있소? 일어나서 당신 신에게 부르짖으시오. 행여나 그 신이 우리를 생각해 주어, 우리가 죽지 않을 수도 있지 않소?” 뱃사람들이 서로 말하였다. “자, 제비를 뽑아서 누구 때문에 이런 재앙이 우리에게 닥쳤는지 알아봅시다.” 그래서 제비를 뽑으니 요나가 뽑혔다. 그러자 그들이 요나에게 물었다. “누구 때문에 우리에게 이런 재앙이 닥쳤는지 말해 보시오. 당신은 무엇하는 사람이고 어디서 오는 길이오? 당신은 어느 나라 사람이며 어느 민족이오?” 요나는 그들에게 “나는 히브리 사람이오. 나는 바다와 뭍을 만드신 주 하늘의 하느님을 경외하는 사람이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그 사람들은 더욱더 두려워하며, “당신은 어째서 이런 일을 하였소?” 하고 말하였다. 요나가 그들에게 사실을 털어놓아, 그가 주님을 피하여 달아나고 있다는 것을 그들이 알게 되었던 것이다. 바다가 점점 더 거칠어지자 그들이 요나에게 물었다. “우리가 당신을 어떻게 해야 바다가 잔잔해지겠소?” 요나가 그들에게 대답하였다. “나를 들어 바다에 내던지시오. 그러면 바다가 잔잔해질 것이오. 이 큰 폭풍이 당신들에게 들이닥친 것이 나 때문이라는 것을 나도 알고 있소.” 사람들은 뭍으로 되돌아가려고 힘껏 노를 저었으나, 바다가 점점 더 거칠어져 어쩔 수가 없었다. 그러자 그들이 주님께 부르짖었다. “아, 주님! 이 사람의 목숨을 희생시킨다고 부디 저희를 멸하지는 마십시오. 주님, 당신께서는 뜻하신 대로 이 일을 하셨으니, 저희에게 살인죄를 지우지 말아 주십시오.” 그러고 나서 그들이 요나를 들어 바다에 내던지자, 성난 바다가 잔잔해졌다. 사람들은 주님을 더욱더 두려워하며 주님께 희생 제물을 바치고 서원을 하였다. 주님께서는 큰 물고기를 시켜 요나를 삼키게 하셨다. 요나는 사흘 낮과 사흘 밤을 그 물고기 배 속에 있었다. 주님께서는 그 물고기에게 분부하시어 요나를 육지에 뱉어 내게 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 말씀 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제 마음안에 친히 오시어
    사랑의 불을 놓아 주시고
    사랑의 기적을행하시어
    주님의 말씀이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게 하소서.
    아멘
복음
  •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25-37 그때에 어떤 율법 교사가 일어서서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말하였다. “스승님, 제가 무엇을 해야 영원한 생명을 받을 수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율법에 무엇이라고 쓰여 있느냐? 너는 어떻게 읽었느냐?” 그가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목숨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고 네 정신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하였습니다.” 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옳게 대답하였다. 그렇게 하여라. 그러면 네가 살 것이다.” 그 율법 교사는 자기가 정당함을 드러내고 싶어서 예수님께, “그러면 누가 저의 이웃입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 응답하셨다. “어떤 사람이 예루살렘에서 예리코로 내려가다가 강도들을 만났다. 강도들은 그의 옷을 벗기고 그를 때려 초주검으로 만들어 놓고 가 버렸다. 마침 어떤 사제가 그 길로 내려가다가 그를 보고서는, 길 반대쪽으로 지나가 버렸다. 레위인도 마찬가지로 그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서는, 길 반대쪽으로 지나가 버렸다. 그런데 여행을 하던 어떤 사마리아인은 그가 있는 곳에 이르러 그를 보고서는, 가엾은 마음이 들었다. 그래서 그에게 다가가 상처에 기름과 포도주를 붓고 싸맨 다음, 자기 노새에 태워 여관으로 데리고 가서 돌보아 주었다. 이튿날 그는 두 데나리온을 꺼내 여관 주인에게 주면서, ‘저 사람을 돌보아 주십시오. 비용이 더 들면 제가 돌아올 때에 갚아 드리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너는 이 세 사람 가운데에서 누가 강도를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다고 생각하느냐?” 율법 교사가 “그에게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 하고 대답하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셨다.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말씀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부족한 제 영혼을 다스리시어
    매순간 말씀 안에서 살아 숨쉬며
    복음을 실천하게 하소서.
    아멘
오늘의 묵상
  • 오늘 복음은 ‘착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입니다. 사랑이란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베드로가 예수님을 처음으로 만났을 때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베드로가 밤새도록 애써서 고기를 잡아 보려고 하였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내리라고 하십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의 말씀대로 하였더니, 그물이 찢어질 정도로 많은 고기를 잡았습니다(루카 5,1-11 참조).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을 뜻합니다. 그 사람의 마음속 깊은 곳, 그 안에 새겨진 온갖 슬픔과 고독, 분노, 죄악, 어두움 속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깊은 데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베드로가 그랬던 것처럼, 아무리 그를 사랑하려고 애써도 그 어떤 열매도 맺을 수 없을 것입니다. 예수님의 사랑은 언제나 깊은 데로 가시어 그물을 치시는 것입니다. 눈먼 이의 깊은 곳인 두 눈을 어루만져 주시고, 귀먹은 이에게는 그의 귀에다 손가락을 집어넣으십니다. 나병 환자를 위해서는 그의 피부를 매만지십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우리 모두의 깊은 곳, 곧 십자가상의 죽음에까지 들어가셨습니다. 오늘 사마리아인은 깊은 데로 가서 그물을 쳤습니다. 그는 강도를 만난 사람을 보았을 때 그 사람의 깊은 곳을 보았습니다. 곧 강도를 만난 사람이 느꼈을 당황과 두려움, 절망, 분노, 가족에 대한 걱정, 강도에 대한 원망 안으로 들어간 것입니다. 그리고 그를 위한 여러 가지 그물을 칩니다. 그 반면, 사제와 레위인은 사랑할 수 있는 기회가 왔음에도 사랑하지 못했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그들은 깊은 곳으로 들어가 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사랑한다고 말은 하면서도 정작 그 사람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 보지 않는 것은 아닌지요?
 
-출처 매일 미사-


★ 오늘도 생활의 기도를 통하여 ~~~

기쁨과 사랑과 평화를 누리는 좋은 하루 되세요 ^^*

댓글목록

profile_image

엄마꺼님의 댓글

엄마꺼 작성일

성모님이 요구하시고 명하시는
복음적 메시지(회개, 기도, 보속 등등)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실천해야 한다. 이것이
당신 아들의 형제들인 우리가 어머니 마리아의
소망을 이해하는 길인 것이다... 아멘.

이 기도가 신앙에서 성장하는 수단이 되교
교회의 적들에 맞서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고 하였다.

묵주기도의 동정마리아시여,찬미하며 사랑하나이다.
나주성모님의승리와 인준, 전파를 위하여
율리아님의 영육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성직자 수도자들의 영적성화를 위하여
죄인들의 회개와 냉담자들의회두를 위하여
나주를 옹호할 용기있는 신부님들이 나타나길,
나주를 반대하고 박해하는이들의 회개를 위해
잠자고 있는 영혼들을 깨워주시기를 청하며..
저희 순례자들의 영육의건강과 성화를 위하여
하느님 아버지께 간절히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자아포기님의 댓글

자아포기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성모 마리아시여!!나주성모님 인준으로 우리를 구원의 길로 이끄소서!!아멘
묵주기도의 어머니시여!! 율리아님의 영육간건강을 간구합니다!! 들어주소서!아멘아멘

profile_image

달님님의 댓글

달님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이시여
나주 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봉헌하시는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시도록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무지개님의 댓글

무지개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님의것님의 댓글

님의것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성모 마리아시여~!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과
봉헌하시는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 지도록 빌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사랑의단비님의 댓글

사랑의단비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이시여
나주 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길동이님의 댓글

길동이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자비의샘님의 댓글

자비의샘 작성일

아멘, 감사 샬롬 ㅎㅎㅎㅎㅎ

profile_image

♥아기천사님의 댓글

♥아기천사 작성일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시여!~
우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온마음을다하여님의 댓글

온마음을다하여 작성일

아멘!!!
묵주기도를 더욱더 정성스럽게...♡♡♡

profile_image

어머니향기님의 댓글

어머니향기 작성일

아멘!!!아멘!!!아멘!!!

profile_image

애인여기님의 댓글

애인여기 작성일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시여!

저를 포함한 이 세상의 모든 죄인들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봉헌하시는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빌어주소서.아멘

profile_image

천국에가리님의 댓글

천국에가리 작성일

+++
묵주기도의복되신동정마리아시여!
나주성모님의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건강과
기도지향
이루어지도록
빌어주소서
아멘.

성체사랑님!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엄마와함께님의 댓글

엄마와함께 작성일

우리는 구원의 신비를 묵상해야 합니다. 아멘!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시여!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성모성심의 승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성체사랑님, 알러뷰^^

profile_image

생활의기도화님의 댓글

생활의기도화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빠른 인준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아멘

율리아님의 영육간에 건강과 안전과 기도지향이
이루어 지시길 빌어 주소서.아멘

profile_image

주님함께님의 댓글

주님함께 작성일

성ㅁ님이 좋아하시는 로사리오 기도
매일 정성으로 바칩니다. 아멘

profile_image

장미꽃비님의 댓글

장미꽃비 작성일

나주에서 발현하신 성모님도

진실입니다.

진실중에 진실입니다.

~아멘`

profile_image

한처음님의 댓글

한처음 작성일

묵주 기도의 동정 마리아 이서여 ~
  율리아 엄마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 엄마가 기도 지향하는 모든 것들과 - 성직자.수도자들의 영적성장과 - 죄인들의 회개와 - 나주인준과
    저와 저희 가족들과 온 세상 사람들의 영.육간에 건강과 안전 - 특히 영혼의 암덩이를 치유하여 주시어 - 자신의 잘못을 뉘우쳐 - 부활의 삶을 살수 있도록
      그리고 연옥영혼들과 - 림보에 있는 영혼들의 구원과 묵주기도를 깊이 묵상할 수 있는 은총과 마귀를 물리칠 수 있도록 전구하여 주소서.  아멘 아멘 아멘.

profile_image

새로운여명님의 댓글

새로운여명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빠른 인준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율리아님의 영육간에 건강과
안전과 기도지향이 이루어
지시길 빌어 주소서.

profile_image

사랑의성심님의 댓글

사랑의성심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어머니망토님의 댓글

어머니망토 작성일

묵주기도의 동정 마리아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마리안나님의 댓글

마리안나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야고보님의 댓글

야고보 작성일

아멘~~~~아멘!

profile_image

위로의샘님의 댓글

위로의샘 작성일

우리는 구원의 신비를 묵상해야 합니다.
그리고 성모님이 좋아하시는 묵주기도를 매일 매일 열심히 바쳐야 합니다.
묵주기도는 복음의 요약이기 때문입나다.

성모님이 요구하시고 명하시는
복음적 메시지(회개, 기도, 보속 등등)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실천해야 한다. 이것이
당신 아들의 형제들인 우리가 어머니 마리아의
소망을 이해하는 길인 것이다... 아멘.

이 기도가 신앙에서 성장하는 수단이 되교
교회의 적들에 맞서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고 하였다.

아멘!!!

profile_image

Liliana님의 댓글

Liliana 작성일

마리아의 발현은 성모님이 교회의 생활에 적극 참여하고 계심을 증명한다.
아멘!!!

천상의 모후이시며 사랑의 어머니!
한국 나주에 친히 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랑해여~*
어서 승리하시옵소서. 아멘!!!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마리아의구원방주

주소 : 전남 나주시 나주천 2길 12 (우.58258)
전화 : 061-334-5003 팩스 : 061-332-3372

접속자집계

오늘
7,101
어제
7,570
최대
8,248
전체
4,357,795
Copyright © http://www.najumary.or.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