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운영진글

율리아님말씀

주님께서 예비하신 삶

기도봉헌란

영광의자비의예수님

 

사랑의메시지

나주성지바로알기

나주의진실

나주 동영상

은총증언

 

 

 

 

성녀 모니카 기념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성체사랑
댓글 32건 조회 5,133회 작성일 18-08-27 10:41

본문

 

99788E3359A2CD9C12B3B1

모니카(Monica)
축일: 8월 27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과부, 증거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332-387년
같은이름: 모니까

♧♧♧♧ T♧♧♧♧ T♧♧♧♧
성인설명 :

• 북아프리카 누미디아(Numidia)의 타가스테(Tagaste)에서 그리스도교 신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성녀 모니카는
이교도인이자 로마의 하급관리이던 파트리키우스(Patricius)와 결혼했는데,
남편의 성품은 권위적이고 또한 세속적인 명예를 좋아하고 다소 방탕한 기질이 있었다.
이 부부는 세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나비기우스(Navigius) 그리고 페르페투아(Perpetua)이다. 

9911A43359A2CD9D1BF89D

· 성녀 모니카는 끊임없는 기도와 인내로써 370년경 남편과 시어머니를 개종시켰지만 그 다음 해 과부가 되고 말았다.
이때부터 그녀는 아들인 아우구스티누스의 회심과 개종을 위하여 노력했다.
그 당시 아우구스티누스는 북아프리카 최고의 도시인 카르타고(Carthago)에서 공부하던 중에 마니교에 심취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교 철학에 빠져 그릇된 길을 걷고 있었다. 

9944713359A2CD9D1BD421

· 그래서 그녀는 아들을 따라 로마(Roma)까지 쫓아갔으며(383년) 또 386년에는 밀라노(Milano)까지 갔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여기서 성 암브로시우스(Ambrosius, 12월 7일) 주교를 만나 그리스도교의 깊은 진리를 받아들이고 마침내 387년 부활절에 세례성사를 받았다.
성녀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아들인 아데오다투스(Adeodatus)와 함께 살다가 객지 생활을 정리하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로마 근처 오스티아(Ostia) 항구에서 카르타고로 돌아가는 배를 기다리던 중 열병으로 5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9969833359A2CD9E286693

· 성녀 모니카에 대한 공경은 처음에는 없었지만
1162년 성녀의 유해가 프랑스의 아라스(Arras) 근처 성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으로 옮겨지면서 전 교회에 확산되었고,
다른 유물들은 1430년 오스티아에서 로마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성당으로 옮겨졌다.
성녀 모니카는 가톨릭 여성 단체의 수호성인이자 그리스도교 어머니상의 모범으로서 높은 공경을 받고 있다
 

ㅡㅡ※ㅡTㅡ※ㅡㅡ

2. 한국 재속프란치스코회 성인록 ▷
< 8월27일 성녀 모니카 >
....... (안젤라 | 2010.08.23 Ud.) 

995FF63359A2CD9E196901

St Monica (on the pillar)-GOZZOLI, Benozzo

1464-65.Fresco.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 축일:8월27일

< 성녀 모니카 >
- St. Monica of Carthage
- Santa Monica Madre di S. Agostino

- (Tagaste, attuale Song-Ahras, Algeria, c. 331 - Ostia, Roma, 27 agosto 387 )

- Born : 322 at Tagaste (Souk Ahrus), Algeria
- Died : 387 at Ostia, Italy

- Canonized : Pre-Congregation

- Monica = la solitaria, dal greco = the solitary one, from the Greek
(注: - 모니카 = 고독, 그리스어 = 외로움, 그리스어)

- 어머니의 주보성인
 

9922553359A2CD9F2DC499

• 성녀 모니카(331-387년)는 북아프리카의 타가스테에서 크리스찬 부모의 영향을 받고 성장하였으나
외교인 남편 파트리치우스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는데,
아우구스티노와 니비지우스 그리고 페르페투아가 곧 그들이다.

모니카는 370년경에 남편과 사별하고, 맏아들의 개종을 위하여 피나는 노력을 하였다.
그 당시 아우구스티노는 카르타고에서 공부하던 중에 마니교에 심취 해 있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띠노의 회개를 위해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끊임없이 하느님께 기도했다.
기도 생활로 자신의 신앙을 돈독히 하고 덕행으로 그것을 빛나게 함으로써 훌륭한 어머니의 모범이 되었다.

어머니는 아들을 위해 로마까지 쫓아갔고, 386년에는 밀라노까지 갔는데,
거기서 아우구스티노가 크리스찬 진리를 수용함으로써 그녀의 한을 풀었던 것이다.
성녀 모니카는 아들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으로 크리스찬 어머니상의 모델이요,
기혼 부인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다.
387년 오스티아에서 세상을 떠났다. 

99CB503359A2CDA015D04D

· 잘 알려진 것처럼 아우구스티노는 젊었을 적에 마니교를 믿었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모니카는 그런 아들을 위해 끊임없이 기도했으나 아우구스티노는 쉽게 달라지지 않았다.

아들 때문에 늘 애태우며 노심초사하는 모니카에게 성 암브로시오가 했던
"어머니가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기도한 자녀는 잘못되는 법이 없습니다."라는 말은 아주 유명하다.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 축일:12월7일, 인창동성당게시판790번,1509번.


· 아우구스티노는 회개하기까지 어머니의 속을 무척 썩였는데 이런 일화도 전해진다.
한번은 그가 고향인 북아프리카에서 로마로 가면서 어머니를 따돌리려고 출항 시간을 거짓말로 알려 주었다.
그러자 모니카는 다른 배를 잡아타고 그를 쫓아왔다.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노가 참다운 그리스도인이 될 때까지 귀찮을 정도로 아들을 따라 다녔다.
아우구스티노는 어머니를 따돌리고 자기만의 원을 그렸지만,
그때마다 모니카는 더 큰 사랑의 원으로 아들을 품었다.

-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www.ofmconv.or.kr) - 

9937A03359A2CDA0184277

▷ 성 아우구스띠노 주교의 (고백록)에서
(Lib. 9,10-11: CSEL 33,215-219)

• 영원한 지혜를 찾읍시다.

그녀가 이승을 하직할 날 - 우리는 모르는 채 당신만이 아시던 그날 - 이 가까워 왔을 때,
정녕코 그것은 당신의 그윽한 손길로 마련된 줄 아옵니다만 우연히도
그와 나는 단 둘이서 창문에 기대고 서 있었습니다.
우리 맞은 쪽에 집안의 정원이 내려다 보였습니다.
그 곳은 오스티아 티베리나!
지루하고 고달프던 여행 끝에 속간을 멀리한 우리는 거기서 배를 타려고 쉬고 있었던 것입니다.
다만 둘이서 주고받는 이야기는 즐겁기만 했습니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잊고, 눈앞의 일에만 열중하고 우리는 진리이신 당신의 어전에서 더듬어 보는 것이었습니다.

성자들의 영생, "눈에 보지 못하였고 귀가 듣지 못하였고, 사람의 마음에도 떠오르지 않은" 그 미래의 생활을 우리는 차라리 마음의 입을 벌리고 당신께 있는 생명의 샘, 그 샘물의 하늘스런 흐름을 목말라했사옵니다.

꼭 이 말 이대로는 아닐망정, 나는 이렇게 중얼거리고 있었습니다.
하오나 주여, 당신은 아시나이다. 이런 말을 하고 있던 그날, 말하는 동안 이 세상은 그 온 가지 쾌락과 더불어 하찮게만 보여졌던 것입니다.
그때 그녀는 말하였습니다. 

99C2323359A2CDA012D8D0

"아들아, 내게 있어선 세상 낙이라곤 인제 아무것도 없다.
현세의 희망이 다 채워졌는데 다시 더 할 것이 무엇인지, 왜 이렇게 살고 있는지 모르겠다.
내가 이 세상에서 좀 더 살고 싶어했던 것은 한 가지 일 때문이다.
내가 죽기 전에 네가 가톨릭 신자가 되는 것을 보겠다고 .....
그랬더니 천주께선 과람하게 나한테 베풀어 주셨다.
네가 세속의 행복을 끊고 그분의 종이 된 것을 보게 되니, 그럼 내 할 일이 또 무엇이겠느냐." 

99B5543359A2CDA10F7577

· 이 말에 내가 어떻게 대답했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습니다.

아무튼 그런 지 닷새가 다 못 가서 아니, 더래야 얼마 못되어서 그는 열병으로 눕고 만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앓던 어느 날, 실신하여서 잠시 동안 의식을 잃고 있었습니다.
바삐 가서 보니 이내 정신을 회복하고는 나와 내 형이 곁에 있는 것을 익히 보더니 무엇을 묻는 듯이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내가 어디 있었더라?" 그는 다시 눈을 들어 슬픔에 당황하는 우리를 보고 말했습니다.
"어미를 여기다 묻어 다오."나는 말문이 막히고, 울음을 억지로 참고 있었는데 내 형은 무엇인가 중얼거리며 차라리 고향에서 돌아가셔야 마음이 편하지, 남의 땅에서는 안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소리를 들은 어머니는 쓸데없는 생각을 한다고 찌푸린 얼굴로 나무란 다음, 나를 향하여 말하였습니다.
"보아라, 무슨 소리를 하는지." 이어서 또 우리 둘에게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내 몸뚱이사 어디다 묻든지 그 일로 해서 조금도 걱정들 말거라.
한 가지만 너희한테 부탁한다. 너희가 어디 있든지 주님의 제단에서 날 기억해 다오."
어미는 간신히 이런 말로 그 뜻을 전하다가 뚝 그치고,
치열해 오는 증세 때문에 진땀을 흘리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축일:8월28일. 게시판607번,1336번 

996ABC3359A2CDA218C3F5

Saint Monica - VERROCCHIO, Andrea del.Panel. S. Spirito, Florence

• 성녀 모니카의 평소 환경은 잔소리가 심한 아내, 모진 며느리, 절망적인 부모로 만들 수도 있었지만
그녀는 이 같은 유혹에 굴복하지 않았다.
그녀의 부모들은 그리스도이었던 그녀를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 있는
그녀 집에서 함께 살던 이교도인 파트리치오와 결혼을 시켰다.

파트리치오는 격렬한 성격에 방탕하기까지 했으나 자신을 반성할줄 아는 사람었다.
그는 아내의 자비심과 동정심을 비난했으나 항상 그녀를 존경했다.
모니카는 심술 궂은 시어머니와 함께 살았는데, 모니카의 기도와 모범은 마침내 그녀의 남편과 시어머니를 그리스도교에 귀의시켰다.
그녀의 남편은 영세한 지 1년 후인 371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때 모니카에게는 유년기를 넘긴 세 자녀가 있었다.
그 중 맏이인 아우구스티누스가 가장 유명하다.
파트리치오가 운명한 당시 아우구스티누스는 17세였으며, 카르타고의 수사학 학생이었다.

모니카는 자기 아들이 마니교도가 되어 비도덕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매우 슬퍼했다.
얼마 동안 아들이 집에서 먹고 잠자는 것까지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그녀는 아들이 신앙을 되찾는 확실한 환상을 보았다.
그때부터 그녀는 아들을 위해 열심히 기도하고 단식하면서 아들 가까이에 머물렀다. 

990DBB3359A2CDA21FF8EE

· 사실 그녀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원하는 것보다 휠씬 가까이에 머물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29세에 로마로 수사학을 공부하려 가기로 결심했다. 그녀도 함께 가기로 했다.
어느 날 밤, 그는 어머니에게 친구와 작별 인사를 하러 선창에 간다고 말했다.
그러고는 로마로 가는 배를 탔다.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계교를 알았을 때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다.
그녀가 로마에 도칙했을 때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미 밀라노를 향해 떠났음을 알았다.
비록 여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지만 모니카는 그를 만나기 위해 밀라노로 갔다.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모니카의 영적 지도자였던 성암브로시오 주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녀는 모든 일에 있어 그의 충고를 따랐고 그녀의 제2 본성이 되어 있던 몇 가지 행동을 포기하는 겸손을 가졌다.

모니카는 타가스테에 있었을 때와 같이 밀라노에서 신심 깊은 부인들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녀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교육을 받고있는 동안 끊임없이 아우구티누스를 위해 기도했다.
387년 부활절에 성암브로시오는 아우구티누스와 그의 친구 몇 사람에게 세례를 주었다.

얼마 후 아우구티누스와 모니카는 아프리카로 떠났다.
비록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으나 모니카는 자신의 삶이 곧 끝날 것임을 알았다.
그녀는 아우구티누스에게 "얘야, 이 세상에서 나를 기쁘게 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나는 지금내게 남겨진 일이 무엇이며, 왜 내가 아직도 이 지상에 있는지 모르겠구나.
이 세상에서 나의 모든 희망이 다 이루어졌다." 고 말하였다.
그녀는 곧 병이 들었고, 죽기 전 9일 동안은 심하게 고통을 받았다.

우리가 모니카에 관해 알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은 아우구티누스가 쓴 고백록에 있는 것이다. 

99937A3359A2CDA3112BFB

· 우리는 오늘날 즉석 요리와 즉석 치료와 즉석 신용 등의 시대에 살면서
시간을 요구하는 일에는 인내심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이 우리는 우리의 기도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대답을 원한다.
모니카는 인내의 상징이다.

오랜 세월에 걸친 그녀의 기도는 강인하고 잘닦인 그녀의 성격과 어울려
그녀의 격정적인 남편과 심술 궂은 시어머니, 뛰어났지만 제멋대로인 아들 아우구티누스를 개종시켰다.
 

994DF23359A2CDA33390C5

· 모니카가 북아프리카에서 밀라노로 갔을 때, 그녀는 새로운 사실을 보았다.
그것은 토요일의 단식처럼 그녀가 평소에 지켜 왔던 관습중의 몇 가지가 밀라노에서는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그녀는 자신이 지켜 온 관습에 대해 암브로시오 성인에게 물었다.
암브로시오 성인의 대답은 "나는 여기 있을 때는토요일에 단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로마에 있다면 나는 단식합니다.
당신이 특별한 곳에서 발견하고 관찰한 대로 교회의 관습과 규율을 따르고 항상 그들과 똑같이 행하십시오."라는 것이었다. 

99AA423359A2CE9222ECD7

Death of St Monica (scene 13, south wall)-GOZZOLI, Benozzo

1464-65,Fresco, 220 x 230 cm,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 어느 날 신앙심이 깊은 과부 요안나 샹탈이 품행이 방정치 않은 아들의 영혼의 구원을 염려하며
그를 위해 기도하고 있으니 "성 아우구스티노의 고백록 제8편을 읽어라!" 하는 소리가 들렸다.

이 말을 듣고 읽어보니 거기에는 역시 방탕한 생활을 하던 청년 아우구스티노를 위해 그의 어머니 모니카가 몇 년 동안이나 기도를 계속한 끝에
그녀의 소원이 풀어져 자식이 회개했을 뿐만 아니라
열심히 수덕에 힘써 매우 위대한 대 성인이 되었다는 것이 기록되어 있었다.
요안나는 이에 탄복하고 노력에 노력을 하며 성녀 모니카를 본받았다고 한다 

99AFF03359A2CE920A58B8

· 이런 경건한 자모의 거울인 성녀 모니카는 332년 아프리카 북쪽의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양친은 신심이 두터운 명문 출신이었으나 집안은 매우 가난했다.
모니카가 어렸을 대에 주로 그녀의 교육을 담당한 것은 독실한 노부인으로서 다소 엄격했지만 매우 충실한 여자였다.
어린 모니카는 선량한 성격을 지닌 재미있고 온순한 아이로서 기도나 성당에 가는 것을 무엇보다도 좋아했다.
또한 가난한 사람들을 동정하는 마음이 남달랐고 특히 병중에 있는 빈민에게는 따뜻한 동정의 손을 펴 가끔 자기의 음식물까지 아낌없이 나누어 주는 때도 있었다.
또한 그녀는 용감스런 순교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해서 가족 중에서
누가 순교자의 이야기만 하면 언제나 열심히 듣는 편이었다.

이와 같은 성격으로 보아 동정으로 일평생을 하느님께 바치는 것이야말로
모니카에게 적합한 성소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양친은 그녀를 결혼시키려고 결정했으므로 그녀는 온순히 부모의 뜻에 따랐다.
상대자는 가톨릭 신자가 아닌 파트리치오라 하는 이교인이었다.

그는 가난한데다 나이도 모니카의 배 이상이나 되는 사람으로 난폭하고 걷잡을 수 없는 한량이었다.
처음에는 그래도 젊은 아내를 사랑했던 것 같았으나 후에 마음이 변해 냉정한 태도를 취했다.
그것만으로도 모니카에게는 큰 고통이었는데 게다가 시어머니마저 까다로운 성격으로 매사에 모니카를 괴롭혔던 것이었다.

그러나 모니카는 자신의 신앙과 기도의 힘으로 최후에는 승리를 얻어
남편과 시어머니를 회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었었다.
이리해서 우선 그녀의 아름다운 태도에 감복하여 신앙을 갖게 된것은 시어머니였다.
그 후 남편 파트리치오도 모니카의 일상 생활에 감명을 받아 행동을 고치며 종교 이야기에도 점차 귀를 기울이게 되어 마침내 세례를 받고 신앙심이 깊은 신자가 되었다. 

99C4143359A2CE93124197

• 모니카는 세 자녀를 낳았다.

그 중 두 자녀인 나비지오라는 남아와 페르페투아라는 여아는 어머니를 닮아 탄복할만한 아이였으나
다만 장남인 아우구스티노는 오랬동안 그녀를 괴롭힌 불효자였다.

그의 악으로 기울어지기 쉬운 성질은 이미 소년 시대부터 나타났다.
그는 카르타고의 학교에 있을 때에 신앙을 져버리고 못된 향락에 빠졌으며,
또 오래지 않아 마니교에 들어갔다.

이런 일이 안 어머니 모니카의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자기 아들의 학교 성적이 우수하다는 점은 그에게 아무런 위로도 주지 않았다.
그것은 지금 이대로만 나간다면 아들의 앞길에는 멸망이 있을 뿐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ㅁ?

· 그러던 중 남편 파트리치오도 죽어 모니카는 모든 가사를 도맡아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녀는 아우구스티노의 품행이 아무리 나쁘다 하더라도 절대로 그를 꾸짖거나 나무라지 않았다.
도리어 부드러운 태도로 그의 마음을 돌리려 했다.
그러기 위해서 그녀는 남몰래 눈물을 끊임엇이 흘리며 하느님께 기도했다.
그는 아들의 죄의 보속으로 고신 극기를 행하고, 가난함 중에서도 될 수 있는 한 자비를 베푸는 사랑스런 마음가짐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어느 날의 일이다. 아들을 생각하다 참지 못하게 된 모니카는 타가스테의 주교를 방문하고 자기 고민을 털어 놓았다.
주교께서는 눈물을 한없이 흘리며 말하는 모니카의 말을 다 듣고 나서
"안심하십시오. 그런 눈물의 아들은 결코 멸망될 수 없습니다"하고 말했다.

그녀는 그 말씀을 천상으로부터 받은 대답으로 생각하고 더할 수 없는 위로를 받았다.
그녀는 아들이 가는 곳은 어디든지 따라갔다. 카르타고에도 갔다가 이탈리아의 밀라노에도 갔다.

그녀는 아들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정으로 잠시도 그의 곁을 떠나지 않았다.
당시 밀라노의 주교로 있었던 성 암브로시오의 강론을 아우구스티노는 가끔 들으러 갔다.

그러는 동안에 성스러운 어머니 모니카의 기도의 효험이 겨우 나타나게 되어 하느님의 은총이 풍성히 아들 위에 내리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노는 직접 암브로시오를 방문하기에 이르렀다.
두뇌가 명철했던 주교는 즉시 이 청년의 영혼 상태를 간파하고
온화한 태도로 일일이 확증을 들어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설명해 주었다. 

9950243359A2CE9420F54D

• 아우구스티노는 반대할 수가 없었다.
이리하여 그의 마음은 대단히 감동되었으나 아직 자기 거취를 결정짓지 못하고 있었을 때
거룩한 이집트의 은수자들의 전기를 읽게 되고 그 고행의 생활에 매우 감동되어
"이 사람들이 한 것을 어찌 난들 못할 것이냐!"하고 부르짖었다.
그의 마음은 이제야 안정되어 즉시 교회의 품으로 들어왔다.
바라고 갈망하던 것이 마침내 실현된 것을 본 어머니 모니카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녀는 이제는 세상에 바랄 것이 없는 것처럼 생각되고 이렇게까지 해 주신
하느님의 은총에 대해 눈물과 더불어 감사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들이 개종한 후 모니카는 아프리카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오스티아에서 중병에 걸려 급히 달려간 아우구스티노와 그 동생의 간호를 받으며 고요히 세상을 떠났다.
때는 387년 5월 4일이었고, 그녀의 나이 56세였다. 

999DE93359A2CE961D4E22

▷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홈에서 www.osakorea.or.kr
 

9940BE3359A2CE960E5A09 

            

  • 모니카 성녀는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어머니로, 332년 북아프리카 누미디아의 타가스테(오늘의 알제리의 수크아라스)에서 태어났다. 신심 깊은 그녀는 남편을 개종시키고, 방탕한 아들 아우구스티노의 회개를 위하여 정성을 다하였다. 마니교에 깊이 빠져 있던 아우구스티노가 회개하고 세례를 받게 된 데에는 어머니 모니카의 남다른 기도와 노력이 있었다. 그녀는 아들이 회개의 길로 들어선 지 얼마 지나지 않은 387년 로마 근처의 오스티아에서 선종하였다. 모니카 성녀는 그리스도교의 훌륭한 어머니의 모범으로서 많은 공경을 받고 있다.
말씀의 초대
  • 바오로 사도는 실바누스와 티모테오와 함께, 테살로니카 사람들의 교회에 인사하며, 하느님께 감사를 드린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을 위선자요 눈먼 인도자라고 하시며 불행하다고 선언하신다(복음).
제1독서
  • <주님의 이름이 여러분 가운데에서 영광을 받고
    여러분도 그분 안에서 영광을 받을 것입니다.> ▥ 사도 바오로의 테살로니카 2서 시작입니다. 1,1-5.11ㄴ-12 1 바오로와 실바누스와 티모테오가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가는 테살로니카 사람들의 교회에 인사합니다. 2 하느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에게 내리기를 빕니다. 3 형제 여러분, 우리는 여러분 때문에 늘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여러분의 믿음이 크게 자라나고 저마다 서로에게 베푸는 여러분 모두의 사랑이 더욱더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4 그래서 우리는 여러분이 그 모든 박해와 환난을 겪으면서도 보여 준 인내와 믿음 때문에, 하느님의 여러 교회에서 여러분을 자랑합니다. 5 이는 하느님의 의로운 심판의 징표로, 여러분이 하느님의 나라에 합당한 사람이 되게 하려는 것입니다. 사실 여러분은 하느님의 나라를 위하여 고난을 겪고 있습니다. 11 우리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당신의 부르심에 합당한 사람이 되게 하시고, 여러분의 모든 선의와 믿음의 행위를 당신 힘으로 완성해 주시기를 빕니다. 12 그리하여 우리 하느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에 따라,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이 여러분 가운데에서 영광을 받고, 여러분도 그분 안에서 영광을 받을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 말씀 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제 마음안에 친히 오시어   사랑의 불을 놓아 주시고   사랑의 기적을행하시어  주님의 말씀이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게 하소서.             아멘 복음
  • <불행하여라, 너희 눈먼 인도자들아!>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3,13-22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13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사람들 앞에서 하늘 나라의 문을 잠가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고는 자기들도 들어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들어가려는 이들마저 들어가게 놓아두지 않는다. (14)·15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개종자 한 사람을 얻으려고 바다와 뭍을 돌아다니다가 한 사람이 생기면, 너희보다 갑절이나 못된 지옥의 자식으로 만들어 버리기 때문이다. 16 불행하여라, 너희 눈먼 인도자들아! ‘성전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성전의 금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고 너희는 말한다. 17 어리석고 눈먼 자들아! 무엇이 더 중요하냐? 금이냐, 아니면 금을 거룩하게 하는 성전이냐? 18 너희는 또 ‘제단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제단 위에 놓인 예물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19 눈먼 자들아! 무엇이 더 중요하냐? 예물이냐, 아니면 예물을 거룩하게 하는 제단이냐? 20 사실 제단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제단과 그 위에 있는 모든 것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고, 21 성전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성전과 그 안에 사시는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며, 22 하늘을 두고 맹세하는 이는 하느님의 옥좌와 그 위에 앉아 계신 분을 두고 맹세하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말씀 안에 살아계신 주님께서   제 마음안에 친히 오시어   사랑의 불을 놓아 주시고   사랑의 기적을행하시어   주님의 말씀이 그대로    제게 이루어지게 하소서. 아멘           오늘의 묵상
  • 예수님께서는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을 두고 세 가지를 비난하시는데, 그 공통분모는 위선입니다. 그들에 대한 불행 선언은 깊은 아픔, 유감, 분노, 단죄의 외침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더 이상 회개를 권하지 않으시고 위선적인 그들을 메시아 심판으로 단죄하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하늘 나라로 들어가는 유일한 문이요 길이십니다. 예수님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하늘 나라를 멀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먼저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이 하늘 나라의 문을 잠가 버렸다고 그들을 비난하십니다. 참을 수 없는 그들의 율법주의는 하늘 나라를 미리 알려 주시고 그 나라로 이끄시는 하느님을 섬기지 못하도록 군중을 불안하게 합니다. 그다음 개종자를 두고 한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태도를 비난하십니다. 바오로 사도는 선교 여행을 할 때 유다교에서 개종한 이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들은 율법주의에 만연되어 일반적으로 모세 법 준수를 통하여 의롭게 되거나 구원받는 것에 열광하였습니다. 바리사이들에게서 교육받은 그들은 법적 순수함을 이유로 자기 아내들과 이혼까지도 하였습니다. 바리사이들에 따르면, 히브리인과 개종자가 이교도의 같은 지붕 아래 같이 산다는 것은 금지되며 생각할 수 없는 일입니다. 끝으로 예수님께서는 성전과 제단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성전의 금과 제단 위에 놓인 예물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는 것을 비난하십니다. 이런 인도자들은 “어리석고 눈먼 자들”입니다. 성전과 제단이 금과 예물보다 더 가치가 있는 것은 하느님의 현존을 상징하고 드러내는 성전과 제단에서 그 가치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말만 하고 실행하지는 않는 신앙인이라는 비난을 듣지는 않는가요? (안봉환 스테파노 신부)
-출처 매일 미사-

★  오늘도  생활의 기도를 통하여
 
기쁨과 사랑과 평화 누리는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목록

profile_image

필립보님의 댓글

필립보 작성일

성녀 모니카이시여~
어서 빨리 나주성모님 인준과
극심한 고통을 봉헌하시는 율리아 엄마의 빠른 회복과
산소 포화도의 숫치가 올라감과 두통과, 심부전, 자율신경 치유와
영육간 건강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또한 어린 양들의 참목자이시고 진정한 영적 아버지이신
장홍빈알로이시오 신부님의 영육간 건강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주여 영광과 찬미를 영원히 받으소서~ 성모님 기쁨만 가득하소서~ 아멘! 알렐루야~ ♡♡♡

profile_image

사랑하기님의 댓글

사랑하기 작성일

아멘  아멘  아멘

profile_image

lily님의 댓글

lily 작성일

성녀 모니카이시여 나주성모님 인준과 율리아님 영육건강과
장홍빈 알로이시오 신부님 빠른 쾌유를 위하여 기도드려주소서~!

profile_image

한처음님의 댓글

한처음 작성일

아~멘~ 아~멘 아멘.

profile_image

무염시태님의 댓글

무염시태 작성일

아멘♡모니카 성녀 사랑합니다~*^^*

profile_image

향유옥합님의 댓글

향유옥합 작성일

아멘 모니카성녀님 나주성모님인준과 저희에게 회개와 인내심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profile_image

영적인사랑님의 댓글

영적인사랑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지향하는 모든 기도가 그대로 이루어지게 빌어 주소서..

아멘~~!!*
성체사랑님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장미님의 댓글

장미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세계평화 와 죄인들의 회개를 위하여 
하느님께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엄마작은꽃님의 댓글

엄마작은꽃 작성일

성녀 모니카여 율리아 엄마를 지켜주시고 저희가 엄마의 양육을 온전히 따라 사는 자녀되게 간구해 주소서 아멘 !

profile_image

사랑의승리님의 댓글

사랑의승리 작성일

아멘! 아멘!
성녀  모니카여!
나주성모님인준과 율리아님의 영ㆍ육의 건강과 안전
영적아버지 신부님의 빠른 쾌유를위해 빌어주소서!

profile_image

엄마와함께님의 댓글

엄마와함께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해맑은영혼님의 댓글

해맑은영혼 작성일

성녀 모니카이시여~
하루솟히 나주성모님 인준과,
저희를 위하여 극심한 고통을 봉헌하시는 율리아 엄마의 빠른 회복과,
장홍빈알로이시오 신부님의 영육간 건강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아멘.
또한 저의 자녀들의 회개은총과 악습치유,상처치유를 주시고,
굳센 믿음과 희망을 주시어, 올바르고 힘차게 살아갈 수 있게 하소서! 아멘.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해맑은영혼님의 댓글

해맑은영혼 작성일

성녀 모니카이시여~
하루솟히 나주성모님 인준과,
저희를 위하여 극심한 고통을 봉헌하시는 율리아 엄마의 빠른 회복과,
장홍빈알로이시오 신부님의 영육간 건강하시기를 기도드립니다. 아멘.
또한 저의 자녀들의 회개은총과 악습치유,상처치유를 주시고,
굳센 믿음과 희망을 주시어, 올바르고 힘차게 살아갈 수 있게 하소서! 아멘.
성체사랑님,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사랑의홍수님의 댓글

사랑의홍수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
나주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봉헌하시는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전구해 주소서.
아  멘 !!!

profile_image

님의것님의 댓글

님의것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
나주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과
봉헌하시는 모든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전구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기적의샘터님의 댓글

기적의샘터 작성일

성녀 모니카시여
나주성모님의 빠른 인준과
율리아엄마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장신부님의 빠른 쾌유와 건강
그리고 제가 지향하는 모든기도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전구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Liliana님의 댓글

Liliana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여명님의 댓글

여명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나주성모님의 빠른 인준과 율리아님의 건강회복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 멘..
장신부님 빠른 회복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 멘..
제가 지향하는 모든 이들의 회개와 구원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 멘..

profile_image

순교정신님의 댓글

순교정신 작성일

"어머니가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기도한 자녀는 잘못되는 법이 없습니다"
아멘!
성녀 모니카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인준을 위하여
하느님께 전구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전심전력님의 댓글

전심전력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나의피난처님의 댓글

나의피난처 작성일

어머니가 많은 눈물을 흘리면서 기도한 자녀는 잘못되는 법이 없습니다. 
성녀모니카 시여~
나주성모님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어머니향기님의 댓글

어머니향기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나주 성모님의  인준을

위하여  전구해 주소서 아멘!!!

profile_image

주찬미님의 댓글

주찬미 작성일

끈임없는 기도로
아들을 개종시킨 어머니 모니카성녀...

모니카성녀는 제게
늘 힘을주고 용기를 주었습니다.

어머니의 기도는
결코 약하지않음을 알게해주셨고
절망을 모르게 하였기에

오늘도
희망을 갖고저도 기도드려봅니다.

성녀의 축일
감사드리며 성녀의 믿음...인내의 기도...
제 음가득 쳥해봅니다. 아멘.

profile_image

귀여운아기님의 댓글

귀여운아기 작성일

아멘^^

profile_image

포근한님의품님의 댓글

포근한님의품 작성일

아멘♡
감사드려요~^^

profile_image

야고보님의 댓글

야고보 작성일

+아멘+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미소님의 댓글

미소 작성일

아멘아멘 아멘
성녀 모니카 이시여
율리아엄마영육간에
위하여기도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profile_image

자아포기님의 댓글

자아포기 작성일

성녀 모니카시여!!
나주성모님 인준을 위하여 빌어주소서!아멘
율리아님의 영육간 건강과 기도지향이그대로 이루어지도록 함께 빌어주소서!아멘

profile_image

애인여기님의 댓글

애인여기 작성일

성녀 모니카 이시여 !
 
나주 성모님의 인준과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봉헌하시는 모든 기도지향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전구해 주소서.아멘

profile_image

lily님의 댓글

lily 작성일

모니카 성녀이시여~!
나주성모님 인준과
율리아엄마 영육건강과
장홍빈알로이시오 신부님
쾌유를 위하여
전구해주소서~!

profile_image

마끌리나님의 댓글

마끌리나 작성일

+ + + + + + +
천주께선 과람하게 나한테 베풀어 주셨다.
+ + + + + + +

아멘~! 아멘~!! 아멘~!!!

모니카 성녀이시여~!!!

+ 나주 성모님의 빠른 인준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
+ 율리아님의 영육간의 건강과 안전, 빠른 회복을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
+ 한국 천주교회의 쇄신과 성화를 위하여 빌어 주소서. 아멘~!!!

성체사랑님... 감사합니다.
주님과 성모님의 은총과 사랑 가득가득가득 받으시고,
영육간에 건강하시며, 5대영성으로 매순간 행복하시기를 빕니다. 아멘~!!!

profile_image

생활의기도화님의 댓글

생활의기도화 작성일

아멘!!!
성체사랑님 감사드립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마리아의구원방주

주소 : 전남 나주시 나주천 2길 12 (우.58258)
전화 : 061-334-5003 팩스 : 061-332-3372

접속자집계

오늘
2,052
어제
7,576
최대
8,248
전체
4,360,322
Copyright © http://www.najumary.or.kr All rights reserved.